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46

python의 super() 함수 란? python 공식 Document의 내용에 따르면 정의는 다음과 같다. super([type[, object-or-type]]) Return a proxy object that delegates method calls to a parent or sibling class of type. This is useful for accessing inherited methods that have been overridden in a class. The search order is same as that used by getattr() except that the type itself is skipped. 프록시 객체를 반환한다. 이것은 부모 또는 형재 클래스에게 메소드 콜을 위임한다. 이것은 클래스에서 재 정의 된.. 2019. 4. 4.
데이터베이스 Failure와 Recovery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하는 Failure의 종류 1.Transaction Failure 트랜잭션 자체가 Failure 되는 상황이다. 1)트랜잭션이 발생중인 프로그램의 오류에 의해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2)DBMS나 운영체제에서 필요에 따라 특정 트랜잭션을 abort 하는 경우. Ex)deadlock 발생시 프로세스 중 victim을 선정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abort 한다. 2.System Failure (crash) 메인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가 없어지는 상황이다. Ex) 컴퓨터 전원이 꺼짐. 운영체제에 장애가 발생. 메모리 칩의 고장 발생 3.Disk failure 하드 디스크에 있는 데이터에 장애가 발생한 상황이다. Ex)하드디스크 헤드 불량 등으로 발생 데이터베이스의 Recovery는 위의 F.. 2019. 4. 3.
파이썬(python) 로깅(logging) 모듈이란? 파이썬에서 로그를 관리해주는 모듈입니다. 파이썬 내장 모듈이기 때문에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용법 import logging logging.debug("debug") # 5 단계 logging.info("I'm xxx") # 4 단계 logging.warning("warnig") # 3 단계 logging.error("error") # 2 단계 logging.critical("critical") # 1 단계 위의 문장들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debug, info()는 로그가 찍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logging 모듈은 5 단계의 레벨을 지원합니다. 5단계: debug(가장 심각하지 않음) 4단계: info 3단계: warning 2단계: error 1단계: crit.. 2019. 4. 2.
크롤러(Crawler)란? 크롤러는 WWW(World Wide Web)인 인터넷 속을 알고리즘에 의해 움직이며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페이지를 돌아다니는 행위를 크롤링, 특정 페이지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행위는 스크래핑이라고 합니다. 이 둘을 합쳐 통상적으로 크롤러가 크롤링한다고 표현합니다. 대표적인 예시로 검색 엔진이 있습니다. 검색 엔진은 크롤러를 통해 다양한 페이지를 수집 후 검색 키워드에 맞추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출처 파이썬으로 배우는 웹 크롤러 https://www.writopedia.org/blog/web-crawlers-work/ 2019. 4. 2.
[Java] Java의 탄생 Java의 탄생 자바는 1990년 Sun Microsystem에서 탄생했습니다. Sun Microsystem은 토스터, 전자 레인지 및 양방향 TV 시스템과 같은 임베디드 가전 제품에 프로그래밍 언어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고, Reliability(안전성)은 해당 언어의 주요 목적중 하나였습니다. Reliability가 주요한 목적이었던 이유는 같은 모델의 TV가 수 백만 대 제조되어 판매되었는데,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매되면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Reliability는 매우 중요한 특성이었습니다. C 및 C++을 고려했지만, 전자 기기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는 부족하다고 판단했습니다. C는 상대적으로 컴퓨터 자원을 적게 소모하지만,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지 않았고, .. 2019. 3. 28.
Activity란? Activity란? 정의 일종의 애플리케이션 구성 요소로 사용자에게 전화걸기, 사진 찍기 등 일을 하기 위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한다. 뷰 계층, 즉 View 클래스에서 파생된 객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뷰(View)란?-View는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무언가를 화면에 그리는 객체다. -Android 앱의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는 View와 ViewGroup 객체를 사용하여 구축한다.-ViewGroup은 인터페이스 레이아웃을 정의하기 위해 다른 View(및 ViewGroup)객체를 보유하는 객체다. 출처: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ui/overview?hl=ko 자료구조와 관련된 유익한 정보 새로운 액티비티가 시작될 때.. 2019.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