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46 [Servlet] ServletContextListener란? 학습 목표 · ServletContextListener란? · 리스너의 실행 순서 · 리스너에서 익셉션 처리하기 · 애너테이션을 이용한 리스너 등록 ServletContextListener란? · 웹 컨테이너는 웹 어플리케이션(컨텍스트)이 시작·종료되는 시점에 특정 클래스의 메서드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 - 이 기능을 통해 웹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필요한 초기화 작업 또는 종료된 후 사용된 자원을 반환하는 작업 등을 수행 · 웹 어플리케이션 시작·종료시 특정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1. javax.servlet.ServletContextListen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를 작성 2. web.xml 파일에 1번에서 작성한 클래스를 등록 · javax.servlet.ServletContext.. 2021. 10. 5. [JSP] 필터(Filter)란? 학습 목표 · 필터란? · 필터의 구현 · 필터 설정하기: web.xml 이용 · 필터 설정하기: @WebFilter 애노테이션 이용 · 필터의 응용 - 로그인 검사 필터 - TODO: XSL/T 필터 - TODO: 캐릭터 인코딩 필터 필터란? · HTTP 요청과 응답을 변경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클래스 · 특징: - 객체 형태로 존재 - 클라이언트에서 오는 요청(request)과 최종 자원 사이에 위치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 정보를 알맞게 변경 가능 - 최종 자원과 클라이언트로가는 응답(response) 사이에 위치하여, 최종 자원의 요청 결과를 알맞게 변경 가능 · 클라이언트와 자원 사이에 여러 개의 필터가 모여 하나의 필터 체인을 형성할 수 있음 · 필터는 정보 뿐만 아니라 흐름도 변경할 수 있.. 2021. 10. 5. [JSP] Model 1 아키텍처와 Model 2 아키텍처, MVC 패턴 학습 목표 · Model 1 아키텍처 · Model 2 아키텍처 · MVC 패턴 - MVC 패턴과 모델 2 구조의 매핑 - MVC의 컨트롤러: 서블릿 - MVC의 뷰: JSP - MVC의 모델 - 커맨드(Command) 패턴 기반의 코드 - 설정 파일에 커맨드와 클래스의 관계 명시하기 - 요청 URI를 명령어로 사용하기 · JSP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는 모델 1 구조와 모델 2 구조로 나뉨 · JSP에서 모든 로직과 출력을 처리하느냐 JSP에서는 출력만 처리하느냐에 따라 모델 1, 2 구조로 구분 · MVC 패턴을 이용해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때 모델 2 구조를 사용함 Model 1 아키텍처 · JSP와 JavaBeans만 사용하여 웹을 개발하는 구조 · 90년대 말부터 2000년대 초까지 자바 .. 2021. 10. 4. [Servlet] 서블릿(Servlet)을 이해하고, 구현해보자 학습 목표 · 서블릿이란? · 서블릿 구현 · web.xml로 매핑 · 애노테이션으로 매핑 · HTTP 각 방식별 구현 메서드 · 서블릿 로딩과 초기화 · 초기화 파라미터 · URL 패턴 매핑 규칙 서블릿이란? · 서블릿은 자바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준 - 응답과 요청을 위한 객체들을(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HttpServlet) 제공한다. - JSP 표준이 나오기 전에 만들어짐 · 서블릿의 개발 과정 1. 서블릿 규약에 따라 자바 코드 작성 2. 자바 코드를 컴파일해서 클래스 파일 생성 3. 클래스 파일을 /WEB-INF/classes 폴더에 패키지에 알맞게 위치시킴 4. web.xml 파일에 서블릿 클래스를 설정 .. 2021. 10. 4. [JSP] JSP와 세션(Session) 학습 목표 · 세션이란? · 세션 생성하기 · session 기본 객체 · 기본 객체의 속성 사용 · 세션 종료 · 세션 유효 시간 · request.getSession을 이용한 세션 생성 · 세션에 여러 속성을 사용해서 연관 정보 저장하기 · 서블릿 컨텍스트와 세션 세션이란? · 세션은 웹 컨테이너에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보관할 때 사용함 · 쿠키(웹 브라우저에 정보 보관) vs 세션(서버에 정보 보관) · 웹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한 웹 브라우저마다 한 세션을 생성함 쿠키 vs 세션 · 세션이 쿠키보다 보안적으로 우위 - 쿠키의 이름이나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중간에 탈취 가능 - 세션의 값은 오직 서버에만 저장 · 웹 브라우저가 쿠키를 지원하지 않거.. 2021. 10. 4. [JSP] JSP와 쿠키 학습 목표 · 쿠키란? · 쿠키 생성하기 · 쿠키의 구성 · 쿠키 값 읽어오기 · 쿠키 값 변경 및 쿠키 삭제 · 쿠키 도메인 · 쿠키의 경로 · 쿠키 유효시간 · 쿠키와 헤더 · 쿠키 처리를 위한 유틸리티 클래스 쿠키란? · 쿠키(cookie):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는 데이터 ·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쿠키를 함께 전송, 웹 서버는 쿠키를 사용해 필요한 데이터를 읽을 수 있음 · 쿠키는 웹 서버와 웹 브라우저 양쪽에서 생성 가능 · JSP에서 생성하는 쿠키는 웹 서버에서 생성하는 쿠키 · 쿠키 동작 방식 1. 쿠키 생성: JSP 프로그래밍에서 쿠키는 웹 서버 측에서 생성, 생성한 쿠키를 응답 데이터 헤더에 저장해서 웹 브라우저에 전송 2. 쿠키 저장: 웹 브라우저는 응답 데이터에 포함.. 2021. 10. 3.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5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