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이라는 책을 공부 중입니다. 이 글은 해당 책에서 알고리즘 구현 유형 문제 중 ' 시각' 문제와 풀이를 설명합니다.
[문제]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 X 8 좌표 평면이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 있다. 나이트는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매일 무술을 연마한다.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에는 L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 나이트는 특정한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
-
수평으로 두 간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
수직으로 두 간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이처럼 8 X 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이때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h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만약 나이트가 a1에 있을 때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이다. a1의 위치는 좌표 평면에서 구석의 위치에 해당하며 나이트는 정원의 밖으로는 나갈 수 없기 때문이다.
-
오른쪽으로는 두 칸 이동 후 아래로 한 칸 이동하기 (c2)
-
아래로 두 칸 이동 후 오른쪽으로 한 칸 이동하기 (b3)
또 다른 예로 나이트가 c2에 위치해 있다면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6가지이다. 이건 직접 계산해보시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8 X 8 좌표 평면상에서 현재 나이트가 위치한 곳의 좌표를 나타내는 두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련된다. 입력 문자는 a1처럼 열과 행으로 이뤄진다.
🎊[출력 조건]
첫째 줄에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시오.
🎁<입력 예시> 🎊<출력 예시>
a1 2
문제 해설
왕실의 나이트 문제는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는 하나씩 확인하여 이동하면 된다. 단, 8x8 좌표 편명을 벗어나지 않도록 검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나이트는 2가지 경로로 움직일 수 있다.
1.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2.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나이트의 이동 경로를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아래쪽과 오른쪽은 양수 값, 위쪽과 왼쪽은 음수 값으로 생각하자. 그리고 이것은 steps 변수에 넣는다.
steps = [(-2, -1), (-1, -2), (1, -2), (2, -1), (2, 1), (1, 2), (-1, 2), (-2, 1)]
이제 나이트의 현재 위치가 주어지면 현재 위치에서 이동 경로를 더한 다음, 8x8 좌표 평면에 있는지 확인하자. 이 과정은 반복문으로 처리한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왕실의나이트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tring input = scanner.next();
System.out.println(input);
int col = input.charAt(0) - 'a' + 1;
int row = input.charAt(1) - '0';
int[] dx = {-2, -1, 1, 2, 2, 1, -1, -2};
int[] dy = {-1, -2, -2, -1, 1, 2, 2, 1};
int count = 0;
for(int i =0 ;i <8; i ++){
int x = row + dx[i];
int y = col + dy[i];
if(1<= x && x<= 8 && 1 <= y && y <= 8){
count++;
}
}
System.out.println(count);
}
}
저자 풀이
https://github.com/ndb796/python-for-coding-test/blob/master/4/3.java
출처
이것이 코딩테스트다
'알고리즘&코딩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rithm] DFS와 BFS란? 작동 방식과 구현 방법(with 자바) (3) | 2021.01.26 |
---|---|
[Algorithm] DFS와 BFS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지식들 - 탐색, 스택(Stack)과 큐(Stack), 재귀 함수, 그래프(Graph) (0) | 2021.01.24 |
[Algorithm] 알고리즘 구현 유형 문제 풀이 - 시각 문제 (0) | 2021.01.16 |
[Algorithm]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풀이 - 1이 될 때까지 (0) | 2021.01.11 |
[Algorithm] 그리디 알고리즘 문제 풀이 - 숫자 카드 게임 (0) | 2021.01.10 |
댓글